반응형
한글 도메인으로 사이트 운영이 검색엔진 노출에 용이하다는 판단을 하시는 견해가 있는듯 합니다.
단기간에 치고 빠지기라면 충분히 공감이 가는 이야기이지만 애정을 쏟아서 키울 사이트라면 반대하고 싶습니다.
한글 도메인은 아직도 많은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알고 있는 이야기라서 거론하지 않고
검색엔진에서의 한글 이야기를 해드리겠습니다.
한글도메인은 xn-- 시작하는 변환코드 재인식 됩니다.
그러므로 검색엔진은 한글을 인식하는게 아니고 xn-- 으로 구성된 영문값을 인식하는 것이죠.
기존에 대한민국.com 대한민국.kr 으로 사이트를 등록하여 운영하고 있다면 인식값이 변화 된것을 알게 되실 겁니다.
국내 최대 광고엔진 네이버에서는 .com 은 거의 xn-- 변환값으로 주소나 보여집니다.
.kr 도 변환 작업이 진행 중입니다.
결국 대한민국.kr 이 아닌 xn--3e0bs9hfvinn1a.kr 로 표기가 되는것이죠.
이렇게 변환이 되어도 대한민국이라는 한글값이 인식하면 좋은데 현재는 사이트 설명이나 이름에 대한민국이 없다면 대한민국 키워드 검색에서 제외가 됩니다.
한글 도메인이 가지고 있는 인지도 확보 용이는 검색엔진에서는 무의미한 이야기라는 것이죠.
정책에 변화가 없는 한 한글도메인은 검색엔진에서 제대로 된 대우를 받기 어려울듯 합니다.
한글키워드처럼 포워딩 개념이라면 모를까 사이트 운영에 메인 도메인을 삼는다는 것은 지금 상황으로는 비추!
반응형